기록/이과2 각의 크기 유튜브를 보다가 문제 풀이를 하길래 멈추고 생각해보다 못 풀었다. 보조선을 그어주는 것이 핵심이고, 주어진 길이나 특수각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어주어야 한다. 보통 수선을 그어주는 것을 생각하나 여기선 그렇게 그어주지 않아서 좀 특이했다. 2025. 3. 3. 저울은 어느 쪽으로 기울까? 얼마 전 유튜브로 위 역학 문제를 접했다. 물리학과를 나왔지만 당시 공부를 못했던 게 아쉬워 화면을 멈추고 한참 쳐다봤다(해당 영상의 풀이를 대학물리를 배웠던 교수님께서 해설해주셨는데 도대체 뭘 배운건지..ㅠㅠ). 결국 틀렸는데, 공부할겸 남겨본다(혹시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결론만 말하면 답은 오른쪽, 즉 쇠공이 담겨있는 비커이다. 나는 왼쪽을 골랐는데, 오른쪽은 평형상태인 쇠공이 비커에 담겨있으므로 (물+쇠공+비커)의 무게인데 반해, 왼쪽은 탁구공에 작용하는 부력이 작용해서 (물+탁구공+비커-부력)이라고 생각했다. 여기서 잘못 생각한 개념이 계(System)다. 먼저 왼쪽 저울의 무게를 생각할 때는 계 내에서 작용하는 부력 등을 고려해줄 필요가 없었다. 우리가 몸무게 잴 때 장기들이 서.. 2025. 3.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