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2 오류 코드보다 예외를 사용하라! 클린 코드(로버트 C. 마틴 저)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현재 회사에서 개발하다 든 생각을 간략히 남기기 위함이고, 개발 환경은 스프링 및 웹스퀘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글에 대한 피드백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_ 보통 웹개발을 하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오류[1]에 대한 처리다. 즉, 사용자가 겁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 404나 500 오류 메세지[2]를 보지 않도록 설정 혹은 처리해주어야 한다. 특히 500의 경우 그 원인이 다양하기에[3] 세밀한 처리를 할 수록 좋다. RDB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개발이 그렇겠지만 현재 회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화면 역시 여러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조회해온다. 이를 테면 사용자가 부서 정보(PK)로 부서를 조회.. 2020. 12. 12. RESTful API란 오늘은 웹 개발자라면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인 REST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공부의 목적도 있는 게시물이라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_ RESTful API란 말 그대로 REST한 API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 일종의 프로토콜로서, 정보 제공자와 정보 사용자 간의 계약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씨 서비스 API에서는 사용자는 우편번호를 제공하고, 생산자는 해당 지역의 온도를 응답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무엇일까요? 이는 프로토콜이나 표준이 아닌[1]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그렇다면 .. 2020. 12. 6. IT 분야에서 그간 느낀 점 저는 비전공자로 현재까지 약 3년간 IT 분야에서의 경험이 있습니다. IT도 분야가 다양하지만, 같은 분야의 경험을 하더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점이 다르기에 그간 제가 느낀 점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크게 취업과 적응이라는 측면입니다. 먼저 취업입니다. 저는 국비 출신의 비전공자로 작은 SI 회사에서 첫 사회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제 경우에는 취업할 당시 전반적인 IT 지식뿐 아니라, 국비에서 배웠던 자바 및 스프링에 대한 지식도 많이 부족했지만 면접 당시 회사 임원분께서 저를 좋게 봐주셔서 수월하게 입사할 수 있었는데요. 하지만 일년쯤 지나고 보니 제가 입사할 수 있었던 이유가 SI 특유의 구조적 문제도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첫째, 화면단 개발에 고급 개발자를 넣지 않습니다. 일례로 A라는 40대 고급 .. 2020. 11. 30. Java 8 참고자료 첫 글입니다. 자바11 및 13을 사용하는 곳이 많지만 이제 자바 기본에 대해 조금 알게 된 입장에서 차근차근 제 페이스에 맞게 적어보려고 합니다. 왜 자바 8인지에 대해서는 LTS(Long-Term-Support)라는 걸 차치하더라도 객체지향 언어인 자바에 함수형 패러다임이 녹아든 버전이라고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엽적인 내용을 적지 않고 제가 관련하여 도움을 받고 있는 자료들을 적어놓겠습니다. Kevin-Lee님의 모던 자바(자바8) 못다한 이야기 자바 8 람다의 힘 / 벤컷 수브라마니암 지음 Keven-Lee님의 강의는 자바의 문법 정도만 알고 있는 초보자 입장에서 왜 자바 8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쉽게 설명해주시는데, 하나의 예를 들자면 실제 코드를 리팩토링해가며 자바 8.. 2020. 11. 28. 이전 1 ··· 15 16 17 18 다음